기상, 지형, 토양인자에 따른 소나무림의 공간분포 특성 윤정호, 이우균, 이종수, 김유승, 최창은 요약: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역에 대해 소나무림의 공간 분포와 및 지형, 기상, 토양인자 등과의 영향기작을 공간적인 분석을 통해 밝히고, 이를 기반으로 소나무림의 생육에 적합한 입지 환경조건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수치임상도, 현존식생도, 토지피복분류도를 이용하여 소나무 임분을 100m X100m그리드 단위로 추출하여 활용하였다. 고도 640m 이 하, 경사도는 0 -26
˚ 사이에 전체 소나무림의 99%가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고도의 증가에 따라 단위연적당 출현빈도가 증가하며 300m를 정점으로 지수적인 하강곡선을 나타내었다. 경사와 소나무림분포와의 상관관계는 경사 0-45
˚, 46-50˚의 두 구간에서 다른 양상을 보였다. 경사 0 ~ 45˚ 구간은 13
˚ 를 중심으로 지수 Weibull분포 희귀식으로 표현되며 r2=0.994이고. 경사 45-50˚ 구간은 Cubic Polynomial 회귀식으로 표현되며 r2=0.855로 나타났다. 소나무림 분포와 기상인자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4월 기온 6-14.2˚C 연 평균기온 7.2-14.8
˚ C 강수량 1,010 ~ 1,590mm 에서 전체 소나무림의 99%가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토에 따른 소나무 분포는 양토에서 가장 높은 42.2% , 사양토 34.3%, 미사질양토 15.3%로 나타나 배수가 좋고 건조한 토양조건에서 많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유효토심은 얕은 지역에서 44.7% , 보통의 토심에서 45.1%가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나무림의 공간분포와 지형인자 및 기후인자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에서 소나무립의 공간분포는 고도(
r2 =0 . 913) , 경사(
r2 =0.905) , 기온(
r2=0.790) 및 강수량(
r2 =0.843)과 매우 높은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ey words: Pinus densiflora. spatial distribution. topography. climate. soil. |
Publications > Domestic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