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사진과 GIS를 이용한 토지이용형태 및 산림식생변화 모니터링 정기현, 이우균, 심우범 요 약 : 본 연구는 1974년, 1980년, 1992년에 각각 촬영된 1: 15,0000 축척의 항공사진을 이용한 경관생태학적인 기법으로 경기도 광주군에 위치한 약 500ha면적의 산지에서의 토지이용형태 및 임상의 변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항공사진을 판독하여 토지이용형태 및 임상을 구분하였으며, 이를 1: 5,000의 지형도위에 도면화 하였다. 각 도면은 scanner 와 cadcore를 사용하여 vector화 하였으며, Arc/Info를 통하여 수치자료화 하였다. 한계농지가 산림으로 발달하는 과정을 분석하기 위해 과거 경작지였다가 숲으로 변한 지역과 주변산림에서 임분조사를 수행하였다. 식생구조는 측정된 각 종들의 상대우점치(inportance value)와 종다양성지수에 의해 분석되었다. 연구대상지의 경작지면적은 21%(1974)에서 17%(1992)로 감소된 반면, 산림면적은 79%(1974)에서 81%(1992)로 증가되었다. 또한 경작지가 한계농지화 되면서 발생한 야생초지면적은 0.08%(1974)에서 0.53%(1992)로 증가되었다. 소밀도는 상당히 항상되었는데, 밀도가 낮은 산림은 31%(1974)에서 5%(1992)로 격감된 반면, 밀도가 높은 산림은 36%(1974)에서 68%(1992)로 증가되었다. 과거 계단식 경작지였던 습한 지역이 산림화되면서 나타난 식생구조는 주변의 식생구조와 차이를 보였다. 주변 산림에서는 신갈나무, 굴참나무, 떡갈나무, 산벚나무, 물푸레나무 등이 우점한 반면, 한계농지화되어 자연적으로 다시 산림화된 지역에서는 신나무 등이 하층에, 버드나무와 왕버들이 상층에 우점하였다. 이 경우, 과거 계단식 논이었던 지역의 식생 특성은 주변 산림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 words : land use changes, forest vegetation changes, landscape ecology, vegetation structures, importance value, diversity index, terrestrial inventories, aerial photographs, GIS |
Publications > Domestic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