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쟁지수에 의한 잣나무임분의 흉고직경생장모델 이우균, 서정호, 황재우, 김진수 요 약 : 본 연구에서는 경쟁지수와 연륜생장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가평군의 잣나무 임지에 대한 흉고직경생장모델을 구축하였다. 개체목의 흉고직경과 경쟁지수간의 영향관계 분석을 통해 개체목의 연년반경생장량(R')을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지위를 결정하는 임령(age) 및 우세목수고(h0), 개체목의 흉고직경(dbh) 그리고 개체목의 Hegyi 경쟁지수들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모델을 구성하였다. 상기의 변수로 구성된 여러 비선형 회귀식을 분석하여 반경생장식을 유도하였다. 식은 평균적으로 0.6mm의 오차가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식의 적합도를 나타내는 결정계수는 0.57로 나타났다. 식은 다른 조건이 같다면 개체목의 흉고직경 및 우세목수고는 흉고직경생장에 유리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임령 및 경쟁지수의 증가에 의해서는 흉고직경생장이 둔화된다는 일반생장법칙을 잘 나타내고 있어 흉고직경생장식으로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식에서 우세목 수고는 일반적으로 수고곡선식에 우세목흉고직경을 대입하여 산출된 것이므로 이 두 인자간에는 일정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게 된다. 따라서 우세목수고를 우세목흉고직경으로 대체한 새로운 모델을 구성하여 새로운 반경생장식을 유도하였다. 우세목 흉고직경을 변수로 하는 생장식도 일반생장법칙에 부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반경생장식으로부터 n년 후의 흉고직경은 현재의 흉고직경과 n년간의 직경생장 누적합으로 추정할 수 있다. Key words: competition index, tree-ring growth, Pmus koraiensis, annual radial growth model, dbh-growth model
|
Publications > Domestic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