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KONOS영상과 GIS룰 이용한 참나무류의 공간분포 및 출현확률추정
경기도 앙평지역에 대한 사혜 연구활보영 함보영, 이우균, 정채서, 이준학 요약: 본 연구에서는 1m 공간해상도와 4개의 분광밴드를 가지고 있는 IKONOS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임상을 수종단위로 구분하고, 참나무류의 공간분포와 지형관련인자와 관계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화소기반 분류에 비해 분할영상 분류에서는 오분류 및 salt and pepper 효과가 현격히 감소하었으며,분류정확도도 높게 나타났다. 출현확률모델추정에서도 화소기반 분류결과를 이용한 모델의 정확성이 높게 나타났다 . 또한,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용해 유도된 출현확률모델은 참나무류 공간분포에 대해 알고있는 조림학 및 생태학적 내용을 잘 나타내고 었었다.
본 연구에서 소개된 임상공간분포의 예측방법은 참나무류 뿐만 아니라 다른 수종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기후변화에 따른 임상분포의 변화를 예측하고자 할 때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 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산림경영 측면에서도 지형정보에 따라 출현 가능성이 있는 수종의 예측이 가능하여 그 위치에 적당한 조림수종을 선택하는데 유용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왼다.
Key words : Oak three species, spatial distribution, logistic regression, occurrence provability, GIS, IKONOS |
Publications > Domestic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