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벌효과분석 모델 개발 (1)
손영모, 이경학, 서정호, 이우균 요약: 본 연구에서는 흉고직경분포모텔과 동적임분생장모델을 이용하여 8 개 수종에 대한 간벌에 따른 임분의 평균흉고직경의 발달,즉 간별효과를 분석하였다. 흉고직경분포모델을 이용한 간별효과 분석에서는 직경분포모델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Weibull 분포함수를 이용하여 분석을 살시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분포의 형태를 결정하는 평균흉고직경, 최소흉고직경(급), 최대흉고직경(급), 흉고직경의 표준편차, ha당 본수 등의 자료가 기본적으로 이용된다. 간별 후 상기한 자료들의 변화량을 추정하기 위하여 간별분포지수(K)를 개발하여 K값에 따라 예측이 가능한 회귀식을 추정하여 간벌효과를 분석하였다. 추정된 회귀식들의 설명변수들은 모두 유의성이 높게 판단되었으며, 회귀삭들의 설명력 또한 높게 추정되었다 추정된 회귀식들을 이용하여 간별 후 임분 변화량을 예측한 결과, 일반적인 생장법칙을 잘 나타내고 있어 간
벌효과의 분석을 위한 적합한 기볍으로 판단되었다. 동적생장모델을 이용한 간벌효과 분석에서는 사엽강도와 간벌 전 흉고직경 그리고 시엽 계수를 이용하여 간별 후 임분상태를 예측할 수 있는 회귀식을 구축하고, 현재 임분조건에 따른 흉고직경추정식을 개발한 후 이를 대수차변환형태로 변환하여 다음주기까지의 흉고직경 생장을 예측하였다 다양한 시엽강도 및 임분밀도를 적용하여 임분의 생장을 예측한 결과, 구축된 동적임분생장모텔은 일반적인 생장볍칙을 잘 나타내고 있어 간별효과 분석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간별효과 분석을 위한 방볍들은 설제 산림경영에서 다양한 관리방법에 따른 임분의 생장예측 및 효과 분석을 위하여 이용될 수 있을 것이며, 산림경영계획에 있어 의사결정을 위한 도구로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 words : thinning, distribution index, dynamic stand growth model |
Publications > Domestic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