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 ‎Domestic‎ > ‎

REDD+ 모니터링 시스템 구촉을 위한 원격탐사기술의 활용방안

REDD+ 모니터링 시스템 구촉을 위한 원격탐사기술의 활용방안
박태진 • 이우균* • 청래션 • 검문일 • 권태협
 
요 약: 최근 기후변화와 관련하여 국내를 비롯한 국제적인 관심이 중폭되고 있으며, 이러한 시대적인 흐름 속에 탄소홉수원으로서의 산립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었 다. 특히, 산립전용 및 황폐화 방지를 흉한 온실가스감축(Reduced Emissions rrom Deforestation 뻐d Degradation‘ REDD) 빛 산림탄소축적보존 및 중진,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을 포함하는 REDD+가 post-2012에 이행될 신규 메커니즘으로 환용훨 전망이다. 메커니즘의 이행융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MRV(Measuring, Reporting and Verification) 시스템올 통해 메커니즘 적용 효과를 인중 받아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가장 효율적인 모니터링 방법 중 하나로 인정받고 있는 다양한 원격탑'A~기술의 토지피복변화 탑지 및 탄소축적량 수성하는 방법 및 효과풍 비용 및 기술(불확실성)측연에서 푼석하였다. 그 결과 토지피복변화당지릎 위해서는 중해상도 굉학영상 및 위성 탐재 SAR(Synthetic Aperture Radar)가 가장 적합한 원격탑사자료로 도출되었다. 그리고 탄소축척량 추정에 있어서는, 항공기 탑재 LiDAR(Light Detection 없d Ranging), SAR와 같이 불확실성이 낮은 기술과 비용효융석인 기술인 중해상도 광학영상, 위성 탑재 SAR 간의 콩합올 통해 효융적인 결괴촬 도출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다. 하지만, 아직까지 본 메커니즘에 대한 명확한 인증기관,가이드라인 및 불확실성에 대한 기준이 결정되지 않고 있으므로, 추후 지속척인 관심올 통해 국제척인 흐룹쏠 파악하고,적합한 방볍 툴올 구촉해야 한다. 뿐만아니라 개발된 메커니즘을 대상 개도국에 활용하기 위헤서는 낀일한 국제협력관계 구촉 및 대상국에 적합한 모니터링 방법 또한 고려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Key words : REDD. REDD+, remote sensing, MRV system, land cover, carbon stock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