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 ‎Domestic‎ > ‎

강원도 지방 소나무의 지역 간곡선 및 재적식 모델

강원도 지방 소나무의 지역 간곡선 및 재적식 모델
김준순, 이우균, 변우혁

요약: 재적식은 보통 흉고직경과 수고의 함수로 표현되는데, 회귀분석을 통해 정확도가 높은 식이 주로 채택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지금까지 흉고직경(D)와 수고(H)를 독립변수로 하는 지수식(V=a * D^b * H^c)으로 각 수종에 대한 일반재적식을 유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지방내의 홍천, 정선, 명조, 원주, 영월지역에 대한 간곡선식을 지역별로 유도하고, 이 간곡선식의 회귀체 적분을 통해 지역별 채적을 직접 추정할 수 있는 간곡선 및 재적식 모델을 마련하였다. 조제된 모델에 의해 지역별로 추정된 재적은 기존의 강워ㅝㄴ도 지방 소나무재적표에 의해 추정된 재적에 비해 정확도가 높았다. 또한 지역간곡선식에 의해 유도된 간곡선의 형태는 지역에 따라 서로 달랐으며, 특히 영월지역과 원주지역의 수간은 다른 지역에 비해 수간상부에서 가늘게 발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같은 간곡선의 다양한 형태는 재적추정에 있어서도 지역간 차이를 유발하였다.\

Key words : Volume estimate, volume function. regression analysis, stem curve function, volume function
model, rotational integra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