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용 근적외선 카메라로부터 얻어진 DI(Detection Index)를 이용한 소나무 재선총 피해목의 조기감별
김문일, 이우균, 권태협, 곽두안, 김유승, 이승호 요 약: 본 연구에서는 지상형 원격탐사장비 인 AOC(Agricultural Oigital Camera)를 통해 획득한 영상으로부터 NOVI(Norrnalized Oifference Vegetation lndex) 값을 산출하여 소나무 재선충병 감염목의 조기 감별에 대한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재선충에 감염된 임목의 잎은 시들음 현상을 보이게 되고, 이것은 NOVI의 감소를 유발하므로, 정상목과 감염목은 시기 에 따라 NOVI 변화양상이 다르게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에 착안하여, 시기에 따라 임목의 NOVI 값의 변화량을 보여주는 D1(Detection Index)를 고안하여 감역목의 판별에 사용하였다 2007년 5월부터 8월까지의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감염목과 정상목의 m 값을 산출한 후,GLM(General Linear Models)을 이용하여 분석한결과 6--8월 미 값이 가장 낮은 유의수준(0.0001)에서 두 집단 간에 차이를 보였다 6--8월 01 값으로 감염목과 정상목의 집단 간의 차이를 판별분석(D iscriminant Analysis)한 결과, 미 값을 통한 감염목과 정상목의 분류정확도(Hit Ratio)는 7 1.9%였고, 잭나이 (Jack-knife) 추정방법을 사용했을 때 는 73 . 5%왜 정확도를 얻었다. 위의 결과를 통해 01는 감염목과 정상목을 판별히는데 유용한 지수라고 판단되고, 재선충병에 의한 피해 를 방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Key words : DI, early detection, GLM, NDVI, pine wilt disease |
Publications > Domestic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