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주요 6수종의 수간곡선식
Yeong Mo Son, Kyeong Hak Lee, Woo Kyun Lee and Soon Duk Kwon
요약: 우리나라의 주요 수종인 강원지방소나무, 중부지방소나무, 잣나무, 리가다소나무, 낙엽송, 상수리나무, 신갈나무 등에 대한 개체목 수간곡선을 추정하기 위하여 본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분석을 위한 자료는 이들 생육지 전역에서 수집되어졌다. 최척 추정식을 선택하기 위하여 사용된 모델은 Max & Burkhart 식, Kozak 식 및 Lee 식이다. 각 모렐의 추정 이행능력을 검정하기 위하여 적합도지수등의 검정통계량으로 각 모델의 추정정확도 검정을 실시하고, 실측값과 추정값간의 잔차분표도를 도식화하여 전 추정영역에 있어 과대및 과소 추정을 검정하였다. 이듬- 분석결과 Kozak 식이 모든 검정통계량에 있어 가장 좋은 결과를 보여 주었으며, 직경추정치에 대한 잔차 분포에 있어서도 Max & Burkhart 식과 Lee 식이 특정구간에서 과대 또는 과소소 추정치를 보이는데 반하여, Kozak식은 전 추정영역에 있어 고른 분포를 보염으로써 이 식을 이용, 주요 수종에 대한 최적 수간곡선 추정식을 개발하였다.
Key words : Stem, Taper equation, Kozak model, Pinus densiflora, Pinus koraiensis, Pinus rigida, Larix kaempferi, Quercus acutissima, Quercus mogolica. |
Publications > Domestic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