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 ‎Domestic‎ > ‎

중부지방 소나무와 참나무류의 반경생장량과 지혈, 기후 인자의 관계

중부지방 소나무와 참나무류의 반경생장량과 지혈, 기후 인자의 관계
변재균• 이우균 • 노대균 • 깅성호 • 최정기 • 이영진
 
요 약: 본 연구는 한국 중부지방의 소나무와 참나무류의 생장에 기후와 지형인자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입목의 반경생장량과 기상 인자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수목의 목편을 채취하고 연년반경생장량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년반경생장량이 기본적으로 수령에 영향을 받는다고 가정하여 수령융 독립변수로 하는 생장량올 추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수령 30년 일때의 생장량을 표준생장량으로 정의하여 추정하였다. 표준생장량의 공간분석을 통해 소나무 생장의 공간적인 변이성을 발견하였으며,Generalized Additive Model(GAM) 통해 지형 및 기상인자와 표준 생장량간의 관계룹 밝힐 수 있었다. 기옹상송은 소나무 생장에는 부(-)의 영향을 참나무에는 양(+)의 영향을 주며,강수량 중가는 두 수종 모두에게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표준생장량과 지형 및 기상 인자간의 관계식융 GIS기반 입상도의 소나무와 참나무류 꽁간분포에 적용하여 기옹상송에 대하 소나무와 창나무류의 공간분포변화를 예측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소냐무는 참나무류에 비해 기후변화에 취약하며, 60년 이후에는 동해안 및 남부지역융 중심으로 대부분의 소나무림이 참나무류림으로 대체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Key words : radial growth, spatial distribution, Pinus densiflora, Quercus spp., climate factors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