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 ‎Domestic‎ > ‎

천장산 의릉의 방재대책에 관한 연구

천장산 의릉의 방재대책에 관한 연구
- 임상과 지형인자를 고려한 산불위험성 평가 -
원명수* . 이우균** 최종희***
 
요약: 본 연구는 산불로 부터 안전한 천장산 일대 의롱 문화재 방재대책 수립을 목적으로 임상과 지형인자를 고려하여 산불위험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천장산과 의콩 문화재의 방재대책 수립을 위해 공간특성자료(100mx 100m)를 이용하여 각 지점별 산불발생확률모형 (logistic regression)을 통해 천장산 일대의 산불발생위험성 평가와 임상에 따른 산불위험성 및 산불확산 위험성을 명가하였다. 천장산 일대에서 산불 발생에 영향을 주는 공간특성으로는 경급, 남동향, 남서향, 남향, 침엽수,  활엽수, 혼효림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인자를 이용하여 각 지점별 산불발생확률[l+exp{ - ( - 4.8081 - (0.02453* 경 급)+ω. 6608*남동향)+(0.507*남서 향)+(0.7943*남향)+(0.29498* 칩 엽 수)+(0.28897*활엽수)+(0.17788*혼효립))]J-1을 추정하였다. 산불 발생 후의 산불 대형화 위험지역 구분올 위해 침엽수립, 활엽수림, 혼효림에 대한 주제도를 작성하여 문화재 보호를 위한 방재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작성하였다 향후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산불 등 재해관리에 있어서 산불발생위험이 높은 지역과 대형화 위험지역을 사전에 예측하여 효율적인 예방대책올 수립은 물론 진화자원의 효율적 운용을 통해 산불로 인한 문화재 소실을 피해를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주제어 : 문화재, 산불,  위험성평가,  로지스틱 회귀분석,  천장산,  의풍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