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효림에서 간벌작업이 개체목 생장에 미치는 영향 서정호, 이우균, 이경학, 정세경, 손영모 요 약 : 간벌이 임목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충청북도 괴산군 연풍면 소재 고려대학교 괴산 연습림에서 표준지를 설정한 후 모든 입목의 생장인자들을 조사한 후 가상으로 입목을 간벌하여 입목의 미래 생장을 예측하였다. 간벌 방법들은 Terasaki, Hawley 그리고 도태간벌의 방법을 적용하였다. 또한 기존에 개발된 다른 지역의 단목생장모델을 이용하여 간벌 후 단목의 미래생장을 예측하였다. 간벌방법들 중 도태간벌을 제외한 Terasaki, Hawley의 간벌방법은 약도간벌을 위주로 실시하였다. 따라서 기존의 임분과 간벌 후의 임분간의 차이가 그리 크지 않았으며, 그로 인해 간벌 후의 생장량의 파악에 있어 과소치가 산출된 가능성도 존재한다. 이들 중 입목의 생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도태간벌로서 입목의 생장량이 현저히 높게 예측되었다. 이는 표준지내 절반 이상의 입목을 간벌하여 잔존목의 경쟁상태를 매우 완화 시켰으며, 생육공간을 충분히 제공하였기 때문이라 사료된다. 이러한 도태 간벌은 특정 한 수종의 우수한 생장의 유도와 단기간 내 요구 수치로의 생장 조절이 가능할 것이다. Key words : influence of thinning, individual tree growth, mixed forest, DBH growth model
|
Publications > Domestic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