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지방소나무의 개체목 수간곡선및 재적 추정시스템
이경학, 손영모, 정영교, 이우균 요인: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강원지방소나무 전체 생육지 걸쳐 조사한 2.439본의 표본목에서 얻은 자료로부터 흉고직경과 수고를 변수로 하는 최적 수간곡선식을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개체목 재적을 추정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표본목의 흉고직경, 전체 수고 및 수간높이별 직경자료에Max and Burkhart식. Kozak식 및 Lee식 등을 적용하여 수간곡선식을 유도한 후,각 식의 직경및 재적 추정에 대한 검정 통계량 및 잔차의 분포를 검증한 결과 Kozak식이 가장 우수한 추정이행 능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이 를 강원지방소나무의 수간곡선식으로 선정하였다. 이와 함께 00본의 부표본목자료에서 수피두께추정식을 개발하였다. 이것과 선정된 수간곡선식, 그리고 수간이용기준을 토대 로 수피제외 및 수피포함 전체재적과 이용재적을 구할 수 있는 시스랩을 개발하였으며, 이 를 이용해 수간재적표를 작성하였다. Key words : Pinus densiflora, tree taper equation, tree volume, bark thickness equation, volume tables
|
Publications > Domestic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