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 ‎Domestic‎ > ‎

광역산림계획의 기술적 한계 개선방안 - 고해상도 위성영상 및 GIS 기반 산림정보시스템의 활용 -


광역산림계획의 기술적 한계 개선방안 
- 고해상도 위성영상 및 GIS 기반 산림정보시스템의 활용 -

변우혁, 이우균, 이준학


요약: 본 연구에서는 광역산림계획을 위한 고해상도 위성영상 및 GIS기반 산림정보시스템의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광역산림계획에는 산림과 관련된 다양하고 방대한 양의 정보가 기본적으로 필요하다. 그 중에서도 정밀한 지형정보 및 계호기시점의 임상에 대한 정보는 계획의 실용성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국가 주도의 NGIS사업으로 산림관련 각종 도면의 전산화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어 이들을 활용하는 광역산림계획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용이하게 마련할 수 있게 된다. 이외에 정밀지형정보는 GIS를 이용하여 마련할 수 있다. 즉, 수치등고선에서 추출되는 수치고도모델(DEM)로 부터 경사, 방위, 고도의 등의 정밀지형정보 및 잠재토양수분량을 나타내는 지형지수정보를 GIS기법으로 추출하여 광역산림계획에 활용할 수 잇따. 또한, 수종구분까지 가능한 고해상동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임상을 분류하면 광역산림계획에 수반되는 대면적의 임상정보를 신속·정확하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 
GIS기반 산림정보시스템을 통해 방대한 양의 정보를 효율적으로 처리 할 수 있으며, Raster형 자료와 Vector형 자료를 동시에 활용함으로써 정보처리에 공간요인을 충분히 반영할 수 있다. 즉, 산림자원의 변화를 공간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질의 및 검색에서도 공간요소를 충분히 고려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각종 주제도 및 자료가 통합 관리되고, GIS기반의 각종 공간분석이 가능한 산림정보시스템을 통해 광역산림계획의 수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Key word: large area forest planning, thematic maps, GIS.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ry, forest information system
Comments